본문 바로가기
실속정보

맥박 정상 범위 총정리|연령·활동별로 꼭 확인해야 할 기준

by Clever Story 2025. 6. 29.

맥박 정상 범위 총정리|연령·활동별로 꼭 확인해야 할 기준

맥박(심박수)은 심장이 1분 동안 뛰는 횟수를 의미하며,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핵심 생체 지표 중 하나입니다. 특히 고혈압, 부정맥, 갑상선 질환, 스트레스 등과 연관이 깊기 때문에, 자신의 맥박 범위를 알고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인의 정상 맥박 범위

구분정상 맥박수 (1분당 심박수 bpm)
안정 시 (성인)60~100회
운동 시100~160회 (운동 강도에 따라 증가)
수면 중50~65회 (심박수 저하 정상)
고령자 (65세 이상)60~90회 권장
  • 60 미만: 서맥(느린 맥박)
  • 100 이상: 빈맥(빠른 맥박)

단, 운동선수나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하는 사람은 50회 이하여도 정상일 수 있습니다.
 
 
 

연령대별 정상 맥박수

연령대정상 맥박 범위 (bpm)
신생아 (0~1개월)100~160
영아 (1~12개월)90~160
유아 (1~3세)80~150
아동 (4~5세)80~140
초등 저학년 (6~8세)75~120
청소년 (9~15세)70~100
성인 (16세 이상)60~100

 
아이들은 대체로 심장이 빠르게 뛰며, 성장할수록 안정된 속도로 감소합니다.
 
 

 

맥박 측정 방법

  1. 손목(요골동맥): 엄지손가락 쪽 손목 안쪽
  2. 목(경동맥): 턱 아래 목 옆, 약간 움푹 들어간 부분
  3. 가슴 심음: 청진기를 사용하여 심장박동 측정

– 시계 또는 스마트워치 사용 시 1분간 정확하게 측정
– 15초 동안 맥박을 세고 ×4해도 되지만, 불규칙한 박동이 느껴진다면 꼭 1분 이상 측정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 맥박 이상 의심

  • 안정 시 맥박이 100회 이상 지속 (빈맥)
  • 60회 미만인데 피로·어지럼증 동반 (서맥)
  • 맥박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멈칫거리는 느낌
  • 심장이 쿵 내려앉는 듯한 심계항진
  • 운동 중 숨이 심하게 차면서 심박수 급증

위 증상이 반복된다면 심전도 검사, 24시간 홀터 모니터링 등을 통해 부정맥, 갑상선 질환, 빈혈, 스트레스성 심장 질환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
 
 
 

맥박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요인설명
운동 직후일시적으로 120~180회까지 상승 가능
스트레스교감신경 활성화로 맥박 증가
카페인 섭취커피, 에너지 음료는 심장 박동 촉진
약물갑상선약, 고혈압약, 항우울제 등 영향
수면 중부교감신경 우위로 맥박 저하
탈수·빈혈산소 공급 부족 시 맥박 보상성 상승

 
 

 

맥박 관리가 필요한 경우

  • 고혈압이나 심장질환 병력 있는 분
  • 만성 스트레스, 불면, 우울증 경험자
  • 갑상선 기능항진증/저하증 진단자
  • 빈혈 또는 호흡기 질환이 있는 분
  • 스마트워치에서 지속적인 경고 알림이 울리는 경우

자가 측정과 함께 주기적으로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도 함께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요약

  • 성인의 정상 맥박은 60~100bpm이며, 운동·수면·스트레스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 연령대가 어릴수록 맥박은 빠르고, 나이가 들수록 안정화됩니다.
  • 불규칙하거나 너무 빠르거나 느린 경우, 반드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맥박을 알고 체크하는 것은 단순한 건강관리 수준을 넘어 심혈관 질환의 조기 예방으로 이어집니다. 오늘부터 하루 1분, 맥박 체크 습관을 만들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