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빈 수상소감 지적 김갑수 태도 논란
문화평론가인 김갑수가 제59회 백상예술대상에서 대상을 받은 박은빈의 수상 소감을 과도하게 지적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김갑수는 지난 1일 유튜브 채널 ‘정영진 최욱의 매불쇼’에 출연해 지난 28일 개최된 제59회 백상예술대상에 대해 “기분이 굉장히 좋더라. 무대 설치가 정말 품위 있으면서도 너무 부담스럽지 않았다. 틱톡으로 생중계도 됐고 정말 축제다운 축제였다”라고 높이 평가하면서도 “하나만 쓴소리를 하고 싶다”라며 수상자들의 수상 소감을 언급했습니다.
김갑수는 "거의 전 수상자들이 나와서 멘트에 80~90%가 '감사합니다'라고 한다"라며 "진심은 개인적으로 좀 표하면 안 될까. 그 사람이 개인적으로 감사한 거는 알아서 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자기의 생각 작품 활동할 때 어려움 또는 앞으로의 생각 등 여러 가지 얘기할 거리가 많을텐데 스피치가 잘 안되는 건 어릴 때부터 그렇게 살아와서 그렇다"라며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날 영예의 대상을 안은 박은빈의 시상식 태도를 거론했습니다.
김갑수는 “대단히 미안하지만 대상을 받은 박은빈씨. 훌륭한 배우고 앞으로도 잘할 거다. 근데 울고불고 코 흘리면서 아주”라며 "훌륭한 배우이기 때문에 아끼는 마음으로 얘기를 하는데 호명이 되니까 테이블에서 무대에 나오기까지 30번 이상 절하면서 나온다. 주위 모든 사람에게"라고 말했습니다. 지나치게 감정적이었다고 지적한 것입니다. 이날 박은빈은 시상식에서 자신의 이름이 호명되자 눈물을 흘리며 무대에 올랐습니다.
김갑수는 시상식 태도와 관련해 탕웨이와 송혜교를 모범적인 사례로 꼽았습니다. 그는 “18살도 아니고 30살이나 먹었으면 송혜교씨한테 배워라”라며 박은빈에게 일침을 가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진행자 최욱이 “오해 살까 봐 그러는데 3주 전 방송을 보시면 우리가 송혜교를 지지할 때 (김갑수가) 박은빈을 가장 좋아하셨다”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또 “만약에 거기서 약간 건방 떨면 기사가 막 쏟아진다. 겸손하지 못했다, 백상에 완전히 고춧가루 뿌렸다는 식으로 나와 버린다”라고 박은빈의 입장을 옹호하기도 했습니다. 김갑수의 이 같은 지적에 일부 누리꾼들은 "진정성이 느껴지는 찐 수상 소감이었다", "동의하기 어렵다", "감사하다는 말은 송혜교가 더 했다" 등의 댓글을 달며 반박했습니다.
한편, 박은빈 수상소감 지적 논란이 심해지자 김갑수 문화평론가가 배우 박은빈을 공격할 의도는 없었다고 바로 잡았습니다. 3일 김갑수 문화평론가는 "나에 대한 비판이 많은 것은 상관없다. 다만 박은빈은 내 이야기의 소재가 된 것"이라며 "우리 사회가 아직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너무 자기감정 절제의 미덕이 없이 마구마구 토로하는 것은 성숙하지 못한 사회 모습이라고 생각해 왔다"고 소신을 밝혔습니다.
이어 "시상식의 경우에 두 가지를 지적한 것이다. 하나는 스피치의 내용이 없고, 개인을 향한 감사 인사만 반복된다는 부분이다.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때에는 최소한의 감정 억제가 필요하다"며 "스스로 감격한 것을 눈물로만 드러내는 것이 너무 일반화되어 있다. 박은빈을 공격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 대상 수상자고, 가장 드러난 인물이라 예시로 들었을 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갑수는 우리 사회의 대중문화 전반에 대해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그는 "대중의 연예인, 유명인을 향한 감정이입이 너무 강한 것 같다. 숭배에 가깝게 모든 면이 훌륭하다고 말하다가, 어쩌다 악인으로 꼽히면 모든 비난이 쏟아진다"며 "사람의 편차는 그렇게 큰 게 아니다. 대중 연예인을 어느 정도 흥미로 바라봐줘야 하는데 감정 이입이 너무 과하다. 그런 것에 대해 평소 느낀 것들을 이야기한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또 김갑수는 "그날 '매불쇼'에서 말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이제 대한민국의 연예산업은 세계인의 눈에 띄는 수준까지 올라왔다. 이번 시상식은 특히나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며 "스피치 내용도 없고 주체하지 못해 눈물을 흘리고, 코를 훌쩍거리고, 꾸벅꾸벅 절하는 모습을 세계가 지켜본다는 점을 인식하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스피치의 내용 속에 개인적으로 감사한 사람을 향한 이름만 나열하는 건 곤란하다고 본다. 행사 다음날 전화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이다. 다만 수상 소감을 말할 때는 활동 영역에 대한 생각이 있을 거 아닌가. 사회적 발언도 가능하고,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충분히 가능하지 않나"라고 반문했습니다.
김갑수는 자신이 듣고 본 경험을 일례로 들기도 했습니다. 그는 "따로 들은 이야기로는 종종 수상 예상자에게 '감사인사 중 누군가의 이름을 꼭 거론해야 한다'는 압박이 가해지는 경우도 있다더라"며 "굉장히 당황스러운 이야기 아닌가. 속마음, 경험에 대한 소감을 듣고 싶은 것이지, 주변 사람들 이름을 잔뜩 듣는 건 곤란한 모양새 아닌가 싶다"고 아쉬움을 토로했습니다.
'흥미로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븐 이다해 결혼 (+ 사회, 축가, 청첩장) (0) | 2023.05.06 |
---|---|
김민재 우승소감 (+ 나폴리 33년 만의 세리에A 우승) (0) | 2023.05.05 |
SM 해명 (+ 샤이니 15주년 팬미팅 보이콧) (0) | 2023.05.02 |
빅플래닛 법적대응 (+ 아티스트 사적 대화 녹음 무슨내용?) (0) | 2023.05.01 |
일본 라면 표절(+ 일본 닛신식품 불닭볶음면 표절)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