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속정보
도어록 비밀번호 변경 방법|공통 조작법부터 삼성·게이트맨·코맥스 등 브랜드별 변경법 총정리
Clever Story
2025. 4. 1. 17:50
도어록 비밀번호 변경 방법|공통 조작법부터 삼성·게이트맨·코맥스 등 브랜드별 변경법 총정리
도어록은 우리 집을 지키는 첫 번째 보안 장치입니다.
하지만 초기 설치 후 비밀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사, 가족 구성 변화, 타인 노출 등의 이유로
정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이 꼭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어록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방법을
- 공통 변경 절차
- 브랜드별 메뉴얼
- 비밀번호 오류 시 초기화 방법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드립니다.
도어록 비밀번호, 왜 주기적으로 바꿔야 할까?
- 지문이나 카드보다 비밀번호 노출 가능성 높음
- 관리비청구서, 택배 등 통해 외부에 유추 가능
- 공유 비밀번호는 전 입주자 등에게 유출 가능성 있음
- 최소 6개월에 1번 변경 권장
도어록 비밀번호 변경 공통 절차
- 도어록 내측 커버 또는 뒷면 설정(SET) 버튼 누르기
- 기존 비밀번호 입력
- 새로운 비밀번호 4~12자리 입력 → 재입력
- ‘삐삐’ 또는 안내음으로 완료 확인
등록 버튼은 배터리 덮개 안쪽이나 측면에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브랜드별 비밀번호 변경 방법
삼성 도어록 (SHS 시리즈)
- 내부 커버 열기
- ‘등록’ 버튼 3초간 누르기
- 기존 비밀번호 입력
- 새 비밀번호 입력 → 재입력 → ‘*’
- ‘삐삐’ 소리로 완료
게이트맨 도어록
- ‘Register’ 버튼 누르기
- 음성 안내 후 기존 PIN 입력
- 새 PIN 2회 입력 → 완료
코맥스(COMMAX) 도어록
- 설정 버튼 ‘REG’ 누르기
- 기존 비밀번호 입력
- 새 비밀번호 입력 → 재입력
- ‘*’ 누르면 설정 완료
밀레시스 및 일반형 도어록
- 등록 버튼 3초 이상 누르기
- 현재 비밀번호 입력
- 새 비밀번호 2회 입력
- 삐삐 소리로 완료 확인
비밀번호를 모를 경우 초기화 방법
- 도어록 뒷면 커버 열기
- 배터리 제거
- Reset 버튼 5초 이상 누르기
- 배터리 다시 연결
- 초기화 완료 음성 또는 삐삐음 발생
리셋 버튼은 배터리 슬롯 옆에 작게 숨겨져 있음. 뾰족한 도구로 눌러야 합니다.
비밀번호 변경 시 주의사항
- 4~12자리 숫자만 가능
-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 유추 가능한 번호 지양
- 변경 후 2~3회 테스트 필수
- 배터리 부족 시 오류 발생 → 교체 후 설정 권장
- 일부 모델은 사용자 전체 초기화됨
자주 묻는 질문 (FAQ)
Q. 비밀번호를 바꿨는데 문이 안 열려요.
- 오입력 가능성 있습니다. 초기화 후 재설정 권장
Q. 카드키만 쓰는데 비밀번호도 등록할 수 있나요?
- 대부분 가능합니다. 제품 설명서에서 PIN 등록 메뉴 확인
Q. 모델명을 모를 경우 어떻게 확인하나요?
- 도어 안쪽 또는 배터리 커버 내 스티커 확인
Q. 누가 몰래 비밀번호를 바꿨을 수도 있나요?
- 가능성 있습니다. 초기화 후 다시 설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마무리 요약
- 설정 버튼 → 기존 비밀번호 → 새 비밀번호 2회
- 브랜드별 방식은 다르지만 구조는 유사
- 비밀번호 모르면 리셋 후 초기화 가능
- 보안 위해 6개월 주기 변경 권장
우리 집의 첫 번째 보안은
도어록 비밀번호부터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