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속정보

결혼 준비 순서 총정리|시기별 체크리스트 & 실전 팁

by Clever Story 2025. 6. 30.

결혼 준비 순서 총정리|시기별 체크리스트 & 실전 팁

결혼 준비는 막연하게 시작하면 시간과 비용이 훌쩍 초과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체계적인 순서와 타이밍을 알고 준비하면 혼인신고까지 무리 없이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결혼 준비 과정 전체를 1년 전~D-day까지 시기별 순서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결혼 준비 전체 일정 한눈에 보기

시기준비할 것
12~6개월 전상견례, 예식일 확정, 웨딩홀 계약, 스드메 견적
6~3개월 전본식촬영, 웨딩드레스/턱시도, 청첩장 디자인, 예물
3~1개월 전청첩장 발송, 폐백/혼수 준비, 신혼여행 예약
1개월~D-1식순 최종 조율, 사회자 섭외, 식장 리허설
결혼식 이후혼인신고, 신혼여행, 전입신고, 통장·보험 변경 등

 
 
 
 

1단계. 상견례 & 결혼일 확정 (D-12개월~6개월)

  • 상견례 장소 예약: 양가 부모님 성향 고려
  • 결혼식 날짜 잡기: 부부 일정 + 양가 희망일 조율
  • 예산 대략 설정: 총 예산, 혼수/예물 분담비 등
  • 웨딩홀 사전 투어 & 계약: 주말 피크일은 빠르게 마감되므로 최소 6개월 전 계약

팁:
양가 일정, 지방 거주 여부, 음식 취향 등도 미리 체크하면 효율적입니다.
 
 

 

2단계. 웨딩 스드메 & 본식 준비 (D-6개월~3개월)

  • 스드메 계약: 스튜디오 촬영, 드레스, 메이크업 견적 비교
  • 웨딩 촬영 진행: 촬영일 기준 2~3개월 전 계약 필요
  • 예복 준비: 남성 턱시도·정장, 여성 본식 드레스
  • 예물/예단 협의: 금액, 품목(시계, 반지, 한복 등), 교환 시기 논의
  • 청첩장 디자인/제작: 배송까지 최소 2~3주 소요

팁:
웨딩박람회 활용 시 다양한 견적을 한 번에 비교 가능
예물은 실용성 높은 제품(시계, 반지 등)으로 조율
 
 
 

3단계. 신혼여행 & 혼수 준비 (D-3개월~1개월)

  • 신혼여행 예약: 항공, 숙소, 일정 조율
  • 여권/비자 준비: 해외일 경우 반드시 체크
  • 혼수 구매: 가전·가구 쇼핑, 배송일 고려
  • 폐백/이바지 음식 준비: 양가 전통/형식 유무 확인
  • 청첩장 발송 & 하객 확정

팁:
혼수는 시즌 할인과 사전 예약 혜택 활용이 중요
항공권은 2~3개월 전에 예약하는 것이 가장 저렴
 
 
 

4단계. 결혼식 직전 준비 (D-30일~D-day)

  • 사회자·축가·주례 확정
  • 식순 구성 & 리허설: 순서, 음악, 입장 타이밍 점검
  • 하객 좌석 배치 & 식권 준비
  • 신랑·신부 부모님 의상 점검
  • 피로연 인사 멘트 & 답례품 준비

팁:
리허설은 최소 하루 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순표, 리셉션 진행자 매뉴얼도 미리 준비해두세요
 
 

 

5단계. 결혼식 후 할 일

  • 혼인신고: 관할 주민센터에서 신분증·혼인신고서 제출
  • 신혼여행 출발
  • 전입신고: 이사한 경우 주민등록 주소지 변경
  • 보험·통장·카드 명의변경: 명의, 수령지 등 수정 필요
  • 부부 공동 자산관리 시작

팁:
혼인신고는 결혼식 전이라도 가능하며, 보통 3일 내 처리됩니다.
 
 
 

부가적으로 챙기면 좋은 항목들

  • 웨딩 촬영 스냅 or 영상 팀 별도 섭외
  • 하객용 포토부스 준비
  • 답례품 문구나 포장 방식 커스터마이징
  • 양가 인사장 작성 및 개별 전달

 
 
 

마무리 정리

결혼은 단순히 하루의 이벤트가 아닌 가정의 출발점입니다.
일정을 충분히 잡고 차근차근 준비한다면 스트레스는 줄이고 만족도는 높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두 사람의 마음이니, 모든 결정은 서로 충분히 소통하며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