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속정보

컴퓨터가 안 켜져요|전원이 안 들어올 때 원인부터 해결 방법까지 총정리

by Clever Story 2025. 4. 5.

컴퓨터가 안 켜져요|전원이 안 들어올 때 원인부터 해결 방법까지 총정리

|소리도 안 나고, 불도 안 들어오고, 화면도 안 뜰 때 대처법

갑자기 컴퓨터 전원 버튼을 눌렀는데 아무 반응이 없다면 당황스럽기 마련입니다.

모니터는 검은 화면 그대로, 본체에선 팬 소리도 없고 LED도 꺼져 있는 상태라면
단순한 프로그램 오류가 아닌, 하드웨어 전원계통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글에서는 “컴퓨터가 아예 켜지지 않는 경우”를 기준으로
증상별 원인과 해결 방법을 단계적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상황에 따라 나눠야 합니다

증상 유형 설명
전혀 반응 없음 팬, LED 모두 꺼짐. 아예 무반응
전원은 켜지지만 화면 안 나옴 팬은 돌고 불은 들어오지만 모니터는 꺼짐
부팅 중 멈춤 BIOS나 윈도우 로고에서 멈춤

 

이번 글에서는 첫 번째, '아예 무반응' 상태(전원 안 들어옴)에 초점을 맞춰 안내드리겠습니다.

 

 

 

1. 전원 케이블·멀티탭 점검

  • 멀티탭 스위치가 켜져 있는지 확인
  • 전원선이 콘센트와 본체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 멀티탭이 고장난 경우, 벽면 콘센트에 직접 연결해보기

멀티탭 내부 퓨즈가 나간 경우도 있으며,
보호 기능이 작동해 일시적으로 전원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

 

 

 

2. 파워서플라이(PSU) 점검

본체에 아무 불도 들어오지 않는다면, 파워서플라이 고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 팬이 돌지 않음
  • 전원 LED 완전 무반응
  • 다른 부품 교체 전력을 못 받음

해결 방법:

  • 다른 파워서플라이 연결 후 테스트
  • 파워 테스터기 사용
  • 팬이 살짝 돌다 꺼지는 것도 이상 신호일 수 있음

 

 

 

3. 메인보드 이상 여부 확인

  • 보조 전원(24핀, 8핀) 모두 제대로 꽂혀 있는지 확인
  • 메인보드 LED 확인 (없거나 빨간 불이 켜진다면 이상 신호)
  • 팬이 순간적으로 돌다 꺼지는 경우 메인보드 쇼트 가능성 있음

낙뢰나 정전 이후 회로 손상 사례도 많습니다.

 

 

 

4. 전원 버튼·케이블 단선 가능성

  • 전원 버튼 케이블(PWR SW)이 메인보드에 제대로 연결됐는지 확인
  • 버튼을 눌렀을 때 탄성이 없거나 헛도는 느낌이면 고장 가능성 있음
  • 테스트용 드라이버로 두 핀을 순간적으로 접촉시켜 강제 전원 켜보기

 

 

 

5. CMOS 배터리 문제

  • 메인보드에 있는 동전 모양의 배터리(CR2032) 방전 여부 확인
  • 방전 시 전원이 안 켜지거나 BIOS 진입 불가
  • 배터리 교체 후 부팅 성공 사례 많음

 

 

 

6. 메모리·그래픽카드 점검 (부분 켜짐의 경우)

  • 메모리 슬롯에 먼지 → 접점 불량 → 재장착
  • 그래픽카드 탈착 후 내장그래픽으로 화면 나오는지 테스트

이 단계는 ‘전원은 들어오는데 화면이 안 나올 때’ 적용합니다.

 

 

 

7. 이상이 없는데도 안 켜질 때

  • 정전기나 쇼트로 메인보드 일시 보호 회로 작동
  • 파워 내부 과전류 차단 상태
  • 전원선 완전 제거 후 5분 이상 기다렸다가 재시도

 

 

 

자주 묻는 질문 (FAQ)

Q. 팬도 안 돌고 불도 안 들어옵니다. 파워 고장일까요?

  • 그럴 확률이 높습니다. 교차 테스트나 수리점 방문을 추천드립니다.

Q. 모니터 화면만 안 뜰 경우도 여기 포함인가요?

  • 아닙니다. 그 경우는 그래픽카드, 메모리 문제 등 다른 원인을 의심해야 합니다.

Q. 직접 수리해도 되나요?

  • 파워/메인보드 관련 문제는 부품 교체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전문가 점검이 더 안전합니다.

 

 

 

정리하면?

  • 컴퓨터가 전혀 켜지지 않는 경우, 가장 먼저 확인할 것은 전원선과 파워서플라이입니다.
  • 그다음은 메인보드, 전원 버튼, 케이블 연결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 팬도 안 돌고 불도 안 들어오면 90% 이상 파워 또는 메인보드 문제입니다.

가정 내에서 가능한 범위에서 차근차근 확인해보되,
이상이 없다면 무리한 분해보다는 전문가 점검을 받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댓글